- 신축 아파트 옵션 선택하기 목차
신축 아파트 옵션 선택하기
요즘에는 아파트 청약에 당첨 된 후에 옵션을 선택해서 집을 예쁘게 꾸밀 수 있게 되는데요.
그런데 옵션의 종류가 한 두가지가 아니다 보니 어떤 옵션이 나에게 적절한지, 이 옵션은 선
택해도 될지에 대한 고민이 정말 많습니다.
그렇기에 모델하우스도 한번 더 가보고 모델하우스의 옵션이 뭐가 있는지 꼼꼼히 따져보고
할일이 정말 많죠.
아파트는 평생 한번 살까말까이기 때문에 신차 사듯 자주 바꾸기 힘들어서 모델하우스의 아
파트만 보고 분양가격에 옵션가격이 있는 걸로 착각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그렇기에 필자는 아파트 옵션에 대하여 도움이 되고자 이글을 쓰는데요.
내가 살 집의 옵션에 필요한 품목은 어떤건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옵션이란?]
먼저 옵션이란 뭔지 간단하게 확인해보겠습니다.
옵션 = 인테리어 라고 말씀드리면 이해하시기 쉬울거라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차를 사러 갈 때에도 풀옵션되어있는 차를 보고 옵션을 선택하듯 집도 마찬가지인데
요.
어떤 옵션을 선택하느냐애 따라 나의 집이 어떤 구조로 변경되는지 어떤 인테리어가 적용되
는지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입니다.
[필수 옵션 종류]
1. 발코니 확장
기존 2000년대부터 우후죽순적으로 생겨낫던 광폭발코니로 인한 같은 면적의 넓은 집들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2005년 1월 국토교통부에서는 발코니 확장 면적을 1.5m로 제한하면서
분양가 외의 부수입인 발코니 면적에 대하여 옵션가를 적용하여 판매를 하게 되는데요.
현재 발코니는 분양가격 + 발코니 확장면적이 별도로 붙습니다.
발코니 확장 옵션은 전체 적용 또는 전체 미적용입니다.
옛날처럼 거실 베란다를 갖고 싶다고 해도 가질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옛날 구축 아
파트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불편함을 호소하는데요.
하지만 발코니를 비확장시켜 버리면 추후의 난방 시설의 누수 문제 등과 결로 현상 등의 문제
가 발생하며, 그에 따른 책임은 아파트를 매매한 입주민의 책임입니다.
또한, 전체적인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실 전용면적은 고시텔보다 작은 면적으로
사는데 지장이 생기기 때문에 발코니 확장면적은 분양가격과 함께 신청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여기서 안방 발코니는 비확장으로 들어가는데 이건 왜 확장을 안시켜주나요? 라는 질문이 생
각보다 많으신데요.
* 신축 아파트 안방 발코니에는 대부분 에어컨 실외기실과 피난 대피실이 함께 있습니다.
피난 대피실은 <소방법>에 의거하여 필수로 들어가야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혹여나 창고 대용
으로 사용하신다면 추후에 발생하는 화재 시, 도망가실 수 없다는 점 필히 체크해 주시길 바랍
니다.
아래 링크는 발코니에 대한 설명입니다.
https://namu.wiki/w/%EB%B0%9C%EC%BD%94%EB%8B%88
2. 중문
요즘 신축 아파트에는 중문 옵션을 적용하는데요.중문 설치 시, 단열과 방음, 실내 온도 유지가 됩니다.냉 난방비의 관리 비용이 줄어듦으로써 비용절감과 에너지 절감 효과를 기대해 보실 수 있습니다.
건설회사에서는 모델하우스에서 본 각 타입의 컨셉에 맞춘 1가지 색깔로 통일되며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입주박람회 등과 개인적으로 선택 시, 벽지, 타일 등의 색상과 동일하게 적용시켜
주면 보다 넓은 주거 공간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입주박람회 < 건설회사 옵션 가격이 더 비
싸므로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선택 옵션 종류]
1. 시스템 에어컨
비용 : 평균 500 ~ 700만 원
장점
- 전 실의 에어컨 설치가 가능하며, 1개의 리모컨으로 제어 가능.
- 에어컨 1대보다 5대 이상이 전세, 매매 시 +a 가능함
- 거실 전면의 스마트 월패드 제어 가능
단점
- 필요 이상의 냉 난방 비용
- 시스템 에어컨 설치 시, 배관 등의 수격작용으로 인한 소음 발생
*수격 작용이란?
관 안에 흐르는 유체의 운동이 급격히 멈추거나 유체가 급히 운동을 일으키는 순간에 압력
의 급변화를 일으키는 현상
- 입주박람회로 시스템 에어컨 구매 시, 구매 가격은 저렴하나 각 실마다 설치 시,벽지 도배
재 시공 비용 및 냉매배관 문제 등의 다수 문제 발생
옵션 설치 시 (평균)
1대 - 거실
3대 - 거실 + 주방 + 안방
5대 - 거실 + 주방 + 안방 + 침실 2 + 침실 3
2. 바닥 포쉐린 타일 옵션
바닥 옵션 가격 : 평균 100만 원 선
1) 강마루(기본형)
장점
- 보편적인 디자인
- 노인 및 아이들의 안전 사고 문제 감소
- 포쉐린 타일에 시공하는 줄눈 시공 및 타일 부서짐 등의 비용 절감
- 반려동물의 관절 보호
단점
- 나무이므로 찍힘 발생
- 유아매트 사용 시 곰팡이 발생
2) 포쉐린 타일(옵션형)
장점
- 더 넓어보이는 거실 인테리어 효과
-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함
- 유아매트 사용 시 곰팡이 X
단점
- 타일 시공이기 때문에 무거운 물건에 취약
- 노인 및 어린이 등의 안전 사고 발생 높음
- 줄눈 사이 오염 발생
- 타일 사이의 줄눈 깨짐과 타일 깨짐 등의 비용 발생
ex) 줄눈 시공 30평 바닥 전체 기준 : 80 ~ 100만 원 선 비용 발생
- 매매, 전세 계약 시 호불호 발생
3. 거실 아트월 타일 및 복도 디자인 판넬, 픽처레일(평균)
비용 : 건설사마다 옵션이 다르므로 비용 상이
1) 거실 전면부 아트월 타일 400 x 800 + 거실 후면부, 복도 벽지 시공(평균 기본형)
장점
- 비용 절감
- 거실 전면의 타일 시공으로 거실 전면의 깔끔함 극대화
단점
- 거실 전면부의 아트월 타일 400 x 800은 시각적으로 거실이 좁아보이는 효과가 있음
- 거실 후면부와 복도의 벽지 오염
2) 거실 전면부 아트월 타일 600 x 1200 + 거실 후면부, 복도 디자인 판넬, 픽처 레일
(평균 옵션형)
장점
- 거실 전면부 아트월 타일 600 x 1200 옵션은 거실을 시각적으로 넓어보이는 효과가 있음
- 거실 후면부와 복도의 벽지 시공이 아닌 디자인 판넬로 시공하여 오염에 강하며 인테리어
효과 뛰어남
단점
- 유상 옵션이 패키지로 묶여있어 비용 문제 발생
- 벽에 그림, 사진 등을 걸기 힘듦. 픽처 레일 사용
4. 우물 천장 및 간접 조명(평균)
비용 : 건설사마다 옵션이 다르므로 비용 상이
1) 기본형 천장 + 조명
장점
- 비용 절감
단점
- 층고 높이가 낮아보임.
- 어두울 수 있음
2) 우물천장 및 간접 조명
장점
- 기본 천정고 높이 2.3m + 10cm = 2.4m(평균 시공)으로 층고가 높아보임
- 간접 조명 사용 시 은은하고 아늑한 효과
- 눈부심 감소 및 에너지 효율성
- 중앙등 미 사용 시에 시야 확보 가능
단점
- 추가 비용 발생
- 보수 어려움
4. 주방 옵션
1) 빌트인 냉장고
비용 : 800 ~ 1,000만 원 이상이며, 건설사마다 상이
장점
- 깔끔한 냉장고장 설치 가능
- 인테리어 효과
- 기본형 선택 시, 공간만 제공되는 점에 반해 빌트인 냉장고 옵션 선택 시, 키큰장 추가로
공간 활용 가능(평균)
단점
- 기존 냉장고장 보다 용량이 작음 (기존 냉장고장 사용 시, 한뼘 정도 튀어나오는 부분 감안
하여 사용하여야함.)
- 이사 시 번거로움
2) 가스쿡탑 및 인덕션/하이라이트/하이브리드
(1) 가스쿡탑(기본형)
장점
- 빠른 열전도율 및 강한 화력
단점
- 화재 위험 및 실내 공기 오염도 높음
- LPG, LNG 가스 사용으로 인한 일산화탄소 문제
(2) 인덕션/하이라이트/하이브리드(옵션형)
장점
- 인덕션 : 전자기 유도 작용에 의한 전류로 에너지를 발생시켜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
- 하이라이트 : 세라믹 히터를 통해 내열 유리 상판을 가열해 활용하는 방식
- 하이브리드 : 하이브리드 < 가스레인지 < 인덕션
- 빠른 가열속도와 고효율 및 조리의 편의성
- 안전성 및 실내 공기 오염도 낮음
- 인덕션 : 하이라이트보다 화력이 강해 요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잔열 X, 화재 위험 낮음
- 하이라이트 : 기존의 용기 사용 가능
- 유리 상판 및 주변 관리 쉽고 편함
단점
- 전기 사용량 높음
- 인덕션 : 기존 용기 사용이 불가하며, 인덕션 용기(스테인리스, 철 등 자성을 띈) 사용 필수
- 하이라이트 : 상판 잔열로 인한 화상 유의, 열 효율 떨어짐, 인덕션에 비해 저렴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점검 체크리스트 및 대행업체 (0) | 2024.01.17 |
---|---|
아파트 사전점검 준비물 및 진행절차 (1) | 2024.01.17 |
2024년부터 바뀌는 부동산 정책 1 (0) | 2024.01.05 |
제로 에너지 의무화 시행 (1) | 2024.01.03 |
PF 대출과 현재 부동산의 상태 (0) | 2023.12.26 |